본문 바로가기

자동차

전기차전용 플랫폼 - 자동차 회사별 구분

 

 

안녕하세요!

이전에 전기차전용플랫폼의 장점에 대해 간단히 한 번 알아보았는데요!

오늘은 자동차 회사별로 보유 중인 전기차전용플랫폼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.

바로 포스팅으로 들어가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1. 현대그룹 - E-GMP 플랫폼

아무래도 한국인이니까... 현대 먼저 합니닷.

E-GMP 라는 전기차전용 플랫폼을 가지고 있으며,

현대 아이오닉5

제네시스 GV60

기아 EV6

 

 

 

 

 

2. 폭스바겐 그룹

아우디는 전기차전용플랫폼이 몇 개 정도 됩니다.

그래서 나눠봅니다.

 

2.1 MEB 플랫폼

제일 유명한 건 역시 MEB 플랫폼이 아닐까 싶습니다.

폭스바겐 ID 시리즈,

아우디 Q4 e-트론

중국전용 Q5 e-트론

 

 

 

 

 

2.2 J1 퍼포먼스 플랫폼

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고성능 플랫폼입니다.

포르쉐 타이칸

아우디 E-트론 GT

 

 

 

 

2.3 PPE 플랫폼(Premium Platform Electric)

아직까지는 사용된 차가 없습니다만, 이후 출시될

포르쉐 마칸 EV

아우디 A6 E-트론 GT

 

 

 

2.4 MLB Evo 플랫폼(참고)

전기차 전용은 아니지만, 아우디에서 E-트론 만들 때 사용한 플랫폼입니다.

원래는 카이엔, 벤테이가, 우르스 같은 녀석들 만들 때 사용한 녀석입니다.

 

3. GM 그룹

GM 그룹 역시 플랫폼을 몇 개 가지고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3.1 BEV2 플랫폼

GM의 두 번째 전기차전용플랫폼이라 2입니다.

볼트

볼트 EUV

 

 

 

3.2 BEV3 플랫폼

울티움(Ulitum) 배터리를 사용하는 GM의 신형 플랫폼입니다.

캐딜락 리릭

 

 

 

3.3 BT1 플랫폼

프레임바디를 사랑하는 미국답게, 프레임바디용 전기차플랫폼을 만든 게 BT1입니다.

허머 EV

 

4. 포드 - GE1 플랫폼

포드가 전기차 쪽은 GM보다 살짝 늦습니다.

최근 핫이슈인 포드 F-150은 일반 프레임바디를 전동화 작업만 거친 녀석이고...

GE1 플랫폼을 사용한 건 아래 하나입니다.

머스탱 마하-E

 

 

 

 

5. 벤츠

벤츠 역시 몇 개 가진 것처럼 보이나, 실제 현재 사용 중인 건 EVA가 다입니다.

EQA, EQB, EQC 모두 내연기관 기반입니다.

 

 

 

 

5.1 EVA 플랫폼

대형전기차용 플랫폼입니다.

벤츠 EQS

벤츠 EQE

 

 

 

 

 

5.2 MMA 플랫폼

중형 및 소형전기차를 위한 플랫폼인데, 적용된 차량은 없습니다.

 

6. 볼보 CMA 플랫폼

볼보/폴스타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랫폼입니다.

볼보 XC40

볼보 C40

폴스타2

 

 

 

 

7. 르노/닛산/미쯔비시 CMF-EV 플랫폼

르노와 닛산에서 사용할 플랫폼입니다.

메간 E-TECH

닛산 아리야

 

 

 

 

8. 리비안 스케이트 플랫폼

곧 출시할 리비안 R1 시리즈에 적용되는 플랫폼입니다.

 

 

 

 

9. 토요타/스바루 e-TNGA

내년에 출시 예정인 bZ4X를 시작으로 토요타/렉서스/스바루에 적용될 플랫폼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10. 테슬라

테슬라는 뭐...당연하겠죠?

전기차밖에 없는 회사라 보니 별 언급이 필요 없을 것 같아 마지막에 넣었습니다 ㅎ

 

이것으로 오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.

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!